잡동사니

와인 기초용어

팽고 2014. 3. 6. 13:27

숙성(Aging)

와인을 발효한 뒤 오크통이나 병에 보관하면서 와인을 익히는 과정.


아로마(Aroma)

포도의 원산지에 따라 맡을 수 있는 와인의 첫 냄새 혹은 향기. 반대로 부케(Bouquet)는 와인의 제조 과정이나 숙성 방식에 따른 향기를 의미한다.


아우스레제(Auslese)

독일 와인 법규에 따라 작 익은 포도송이만을 골라서 만든 고급 와인.

 

아페리티프 와인(Aperitif Wine)

식전에 마시는 와인.


아펠라시옹(Appellation)

AOC가 원어이며, 프랑스 와인 품질 등급의 최상위에 있는 등급이다. 지역, 재배품종, 생산량 등을 엄격히 통제해 일정한 품질을 유지한다.

 

산도(酸度,Acidity)

와인이나 음식에서 느끼는 시큼한 맛의 정도.

 

바디(Body)

맛의 진한 정도와 농도, 혹은 질감의 정도를 표현하는 와인 용어. 바디가 있는 와인은 알콜이나 당분이 더 많은 편이다.

 

밸런스(Balance)

와인을 평가할 때 사용되는 용어. 산도, 당분, 타닌, 알콜 도수와 향이 좋은 조화를 이루는 맛을 느낄 때 '발런스가 있다'고 말한다.


베렌아우스레제(Beerenauslese)

독일말을 그대로 번역하면 '선택된 열매'라는 뜻으로 좋은 포도알을 골라 만든 독일의 대표적 화이트 와인.


베리(Berry)

포도 알 낱개.

 

부케(Bouquet)

주로 와인 생산과정이나 숙성과정에 의해 생기는 와인의 냄새 혹은 향기.


브랜디(Brandy)

와인을 증류하여 만든 술. 코냑과 아르마냑이 대표적인 브랜디이다.


브뤼(Brut)

가장 드라이(달지 않은)한 샴페인.

 

블랑드 누아(Blanc de noir)

피노 누아르 같은 적포도 품종으로 만든 샴페인.

 

블랑드 블랑(Blanc de blancs)

샤르도네 같은 청포도 품종으로 만든 샴페인.

 

샤토(Chateau)

원래 프랑스어로 성(城.Castle)이라는 뜻이지만, 와인과 관련해서는 포도원이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샤르도네(Chardonnay)

대표적인 화이트와인 포도 품종.


샤블리(Chablis)

프랑스 부르고뉴내 와인 산지로 화이트 와인을 주로 생산한다.


샴페인(Champagne)

프랑스 상파뉴(Champagne) 지역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스파클링(발포성)와인. 협정에 의해 다른 나라에서 생산되는 발포성 와인을 샴페인이라 부를수 없다.

 

셀러(Cellar)

불어로는 캬브(Cave)라고 하며, 발효가 끝난 와인을 배양.숙성시키기 위해 보통 지하에 만든 장소를 말한다. 지하 저장소가 없는 한국에서는 와인 셀러라고 하면 와인을 보관하는 냉장고를 일컫는다.

 

카토바(Catawba)

미국 동부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는 혼성 포도 품종. 주로 발포성 와인, 로제 와인 혹은 과일 성향이 강한 화이트 와인을 만들 때 사용된다.

 

캐릭터(Character)

맛의 스타일을 이야기하는 와인 테이스팅 용어.


코냑(Cognac)

프랑스 코냑 지역에서 와인을 증류해 생산되는 브랜드의 일종.

 

코르크(Cork)

와인 병마개로 사용되는 탄력이 뛰어난 재료.


콜키지 차지(Corkage Charge)

자기가 보관하고 있는 와인을 전문 레스토랑에 들고 가 마실 경우 서빙 받는 조건으로 와인 가격의 일부, 혹은 병당 일정 금액을 내는 돈.


크뤼(Cru)

와인 재배에 쓰이는 프랑스 말. 옛날에는 '특정지역의 산물'이라는 의미로 씌였는데, 현대에 와서는 크뤼 클라세(Cru Class. 선별 등급)와 같은 높은 품질의 포도주를 말한다.

 

키안티(Chianti)

이태리 토스카나 지역에서 생산되는 이태리의 대표적 와인.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레드 와인의 대표 품종으로 프랑스 메독지방의 그랑크뤼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다.

 

투명성(Clarity)

와인을 눈으로 평가할 때 쓰는 용어로 침전물이나 숙성 여부에 따른 밝기의 정도.

 

돌체 (Dolce)

스위트 (이태리) 

 

디켄팅(Decanting)

병에 있는 와인을 마시기 전 침전물을 없애기 위해 다른 깨끗한 용기(Decanter)에 와인을 옮겨 따르는 것.


플라스코(Fiasco)

 

게부르츠트라미너(Geburztraminer)

독일과 프랑스 알자스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화이트와인용 포도 품종.

 

하이브리드(Hybrid)

포도 재배학에서 두개의 다른 포도 품종을 접목하여 새로운 품종을 만드는 것.

 

헥토리터(Hectoliter)

유럽 포도주 양조장에서 와인을 측량하는 표준 단위. 1헥토리터는 100리터(Liters)이다.

 

아이스 바인(Ice Wein)

초겨울에 언 포도를 따 만든 독일의 고급 와인.

 

저그 와인(Jug Wine)

1.5L 사이즈 혹은 이보다 더 큰 와인 용기에 담아서 적당한 가격으로 파는 와인들에 대한 속칭.

 

제로보엠(Jeroboam)

평균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의 와인 병. 정해진 사이즈는 없고 생산자에 따라 750ml 보다 4∼6배 정도 큰 사이즈.

 

카비네트(Kabinett)

독일 와인 품질 등급 Qmp에서 가장 낮은 등급이다.

 

루아르(Loi )

프랑스 대표적 와인 산지로 폐이 낭테(Pays Nantais), 앙주-소뮈르(Anjou-Saumur), 투렌느(Touraine), 상트르(Centre)가 있다.

 

귀부병(Noble Rot)

포도가 무르익을 때 포도 껍질에 생성되는 일종의 곰팡이로 양질의 디저트 와인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나파밸리(Napa Valley)

미국 샌프란시스코 북부에 대표적 와인 생산지.

 

매그넘(Magnum)

750ml 짜리 일반 와인병 보다 두배 큰 와인 병.


메를로(Merlot)

레드 와인용 포도 품종.

 

메서레이션(Maceration)

프랑스어로 마세라시옹. 발효 전후와 도중에 포도 껍질과 포도즙을 일정시간 함께 담가 색깔과 향기, 맛을 추출해 내는 과정.

 

메독(Medoc)

세계 최고 수준의 레드 와인을 생산하는 프랑스 보르도 내의 와인 산지.

 

뮈스카(Muscat)

청포도 품종으로 일반적으로 달콤하고 매우 향기롭다.

 

오크(Oak)

와인을 숙상하거나 보관할 때 사용하는 배럴을 만드는 나무의 종류. 오크통에서 숙성된 와인인 경우 좋은 타닌과 바닐라 향을 느낄 수 있다.

 

포트(Port)

포르투칼의 포르토(Porto) 지역에서 나오는 대표적인 디져트 와인.

 

폴리페놀(Polyphenol)

와인에서 생기는 화학적인 성분으로 떫은 맛과 쓴맛. 입안이 마르는 듯한 느낌을 준다. 폴리페놀은 포도의 타닌과 포도 껍질의 색소에서 주로 발견되며 심장질환을 막아주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이다.

 

피노(Pinot)

포도 품종의 한 계열로 가장 유면한 것을 피노 누아르.
 

필록세라(Phylloxera)

포도나무 뿌리에 살고 있는 미세한 진딧물로 뿌리의 진액을 빨아먹고 산다. 19세기 후반에 유럽의 포도나무를 황폐화시킨 적이 있다.

 

로제 (Rose)

핑크색 와인

 

론(Rhone)

프랑스 남부의 와인 산지.

 

루즈(Rouge) 

레드 (프랑스어)

 

리슬링(Riesling)

세계적인 화이트 와인용 포도품종.


리오하(Rioja)

스페인의 가장 잘 알려진 고급 와인 생산지역.

 

리제르바 (Riserva)

이태리 끼안티지역에서 최소 3년 이상 숙성시킨 와인


세미용(Semillon)

프랑스 보르도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는 고급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


소믈리에(Sommelier)

와인이 있는 고급 레스토랑에서 와인을 관리하고 서빙하는 전문 웨이터.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청포도 품종으로 샤르도네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테이블 와인용 포도 품종.


소테른(Sauternes)

프랑스 서부 지역 보르도 동남쪽에서 생산되는 고급 디저트 와인.


슈패트레제(Supatlese)

독일어로 '늦은 수확'이라는 뜻으로 양질의 와인을 만들기 위해 일부러 포도 수확을 늦춰 제조한 화이트 와인.


스틸 와인(Still Wine)

발포성이 아닌 일반 와인.


스푸만테(Spumante)

이태리어로 발포성 와인을 뜻한다.

 

젝트(Sekt)

독일말로 발포성(Sparkling) 와인을 총칭하는 말.

 

탄닌(Tannin)

자연적인 폴리페놀 물질로 쓴맛 혹은 수렴성이 있어서 입 안에서 떫은 맛을 느끼게 하는 물질.


테롸르(Terroir)

프랑스어로 와인을 재배하기 위한 제반 자연조건을 총칭하는 말. 토양, 포도품종, 기후 등이 테롸르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

 

테이블 와인(Table Wine)

원래는 14% 미만의 알콜 도수를 함유한 모든 와인들을 총칭하는 것으로 식사 도중에 즐길 수 있는 와인을 일컫는다. 현대에 와서는 싸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하우스 와인의 의미로 쓰고 있다.


테스트빈(Tastevin)

불어로 타스타방. 와인을 시음하기 위해 은으로 만든 컵의 일종.

 

트로켄베렌아우스레제(Trockenbeerenauslese)

독일에서 생산되는 최고급 디저트 와인. 독일어로 '건포도의 선택'이라는 뜻으로, 거의 건포도가 될 정도로 농축된 포도를 수확해 만든 와인.

 

빈(Vin)

프랑스어로 와인이라는 뜻.


빈티지(Vintage)

와인을 제조하기 위해 포도를 생산한 연도. 기후 조건이 매년 다르기 때문에 빈티지에 따라 포도의 질도 달라진다.

 

와이너리(Winery)

와인이 만들어지는 포도원 또는 양조장. 불어로는 샤토(Chateau) 혹은 도멘트(Domaine)라고 한다.


와인메이커(Winemaker)

포도주 양조장에서 와인 제조를 책임지고 있는 사람으로 포도주의 발효, 숙성 그리고 병입 작업까지 책임진다.

 

진판델(Zinfandel)

캘리포니아에서 널리 생산되는 포도 품종

 

Abboccato(아보카토) : 이탈리아어. 약간 달콤한.

 

Abfullung(압퓰렁): 독일어. 병입.

 

Abocado(아보까도): 스페인어. 약간 달콤한.

 

Acid(에시드): 산(酸).

 

Aerobic(에어로빅): 호기성. 생육하는데 공기가 필요한 (미생물)

 

Adega(아데가): 포르투갈어, 와인을 저장하는 곳으로 주로 지상에 있음.

 

Agrafe(아그라프): 샴페인 발효 시 임시로 사용하는 마개. 주로 왕관 마개가 쓰인다.

 

Albariza(알바리사): 스페인 남부 셰리가 나오는 지역의 백색토양.

 

Amabile(아마빌레): 이탈리아어. '아보카토'보다 더 달콤할 때 쓰는 표현.

 

Amelioration(어밀리어레이션): 포도즙의 당도와 산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설탕이나 물 등을 첨가하는 일.

 

Amino acid(아미노 에시드): 아미노산. 단백질이 분해되어 생기는 물질.

 

Ampelography(앰펠로그라피): 포도의 분류를 연구하는 학문.

 

Amphora(앰퍼러): 고대 그리스, 로마에서 와인이나 기름을 넣던 토기로 두 개의 손잡이가 있다.

 

Anaerobic(언에어로빅): 혐기성. 생육하는데 공기가 필요하지 않은(미생물)

 

Anejo(아네호): 스페인어. 오래된. 공식적인 용어는 아님.

 

Angelica(앤젤리커): 요즈음은 보기 힘든 미국의 강화와인.

 

Aperitif(아페리띠프): 식전주.

 

Apre(아프르): 프랑스어. 타닌 함량이 많아서 거칠게 느껴지는.

 

Arena(아레나): 스페인어. 모래. 셰리 나오는 지역의 '알바리사'보다 더 거친 토양.

 

Arome(아롬am): 프랑스어. '향'

 

Arrope(아로뻬): 스페인어. 셰리의 색깔과 당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하는 농축 포도주스.

 

Asciutto(아쉬토): 이탈리아어. 드라이.

 

Assemblage(아쌍블라쥬): 프랑스어. 나무통에 들어있는 와인끼리 섞는 것, 즉 블렌딩, 주로 프랑스 보르도와 샹빠뉴 지방에서 사용하는 용어.

 

Autoclave(오토클라베): 이탈리아어. 아스티 등 스파클링 와인 만드는 방식 = Charmat Process.

 

Autolysis(오톨리시스): 와인이 이스트 찌꺼기 위에 있을 때 이스트가 분해되어 특정한 향을 부여하는 현상.

 

Barrique(바리끄): 프랑스어. 보르도의 225ℓ 나무통.

 

Baume(보메): 프랑스어. 프랑스 당도 단위. 당분이 발효되어 생성되는 알코올 농도와 거의 동일하다.

 

Bianco(비안코): 이탈리아어. 흰색의

 

Binning(비닝): 와인 병을 숙성시키기 위해 눕혀서 보관하는 것.

 

Bishop(비숍): 멀드 와인(Mulled wine)의 일종으로, 포트와인에 오렌지 조각, 향신료, 설탕 등을 넣어 가열시킨 것.

 

Blush wine(블러쉬 와인) : 캘리포니아의 달콤하고 신선한 핑크와인.

 

Bodega(보데가): 스페인어. 와인을 저장하는 곳으로 주로 지상에 있음.

 

Bordeaux mixture(보르도 미그쳐): 보르도액, 농약의 한 종류.

 

Bottle aging(보틀 에이징): 병 숙성. 고급 레드와인에 적용되는 개념.

 

Bottle sickness(보틀 시크니스): 잘못된 병입으로 와인에 공기가 들어가 와인의 생동감이 없어지는 현상.

 

Bottling(보틀링): 주병. 술이나 음료 등을 병에 넣는 작업

 

Bouchon(부숑): 프랑스어. 코르크.

 

Brix(브릭스): 미국, 일본, 한국에서 사용하는 당도 단위. 10% 설탕물이면 10 Brix.

 

Bulk Process(벌크 프로세스): = Charmat Process.

 

Butt(부트): 스페인 셰리의 500ℓ 용량의 나무통.

 

Cantina(칸티나): 이탈리아어. 셀러.

 

Cap(캡): 레드와인 발효시 위로 떠오르는 껍질 층.

 

Capsule(캡슐): 캡슐. 포장된 와인 병의 윗부분 즉 콜크와 병구를 둘러싼 장식.

 

Carafe(커레프, 까라프): 와인 서빙용 유리병. 보통 값싼 와인 서빙에 사용.

 

Carbonated(카보네이티드): 탄산가스가 들어있는.

 

Cask(케스크): 나무통, 크기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음. barrel과 같은 뜻이지만, cask는 이동성이 없는 나무통을 지칭하는 경우에 사용됨.

 

Cave(캬브): 프랑스어. 와인을 제조, 저장하는 곳, 보통 지하에 설치되어 있음

 

Cellar(셀러): 와인을 저장하는 곳이란 뜻이지만, 요즈음은 와인 파는 곳, 와인 전용 냉장고 등도 이렇게 부른다.

 

Cellar master(셀러 마스터): 와인제조 책임자.

 

Centrifuge(센트리퓌지): 원심분리. 원심력을 이용하여 중량이 큰 물질을 분리하는 조작

 

Cepage(세빠쥬): 프랑스어 '포도품종'

 

Chai(섀): 프랑스어. 주병하기 전 와인을 저장하는 곳으로 주로 지상에 있어서 'Cave'와 구별된다. 주로 보르도 지방에서 사용하는 용어.

 

Chambrer(샹브레): 와인을 마시기 전에, 저장실에서 와인을 마시는 장소로 가져와서 실내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실내에 방치시키는 일. 주로 레드와인에 적용되는 용어.

 

Charnu(샤르뉘): 프랑스어. 풀 바디드 (와인).

 

Charpent (샬팡떼): 프랑스어. 균형 잡힌 (와인).

 

cl(센티 리터): ℓ의 1/100. 1 cl = 10 ㎖

 

Clairet(클레레): 프랑스어. 영어의 'Claret'에서 나온 말로 보르도의 가벼운 레드와인을 뜻한다.

 

Claret(클레릿): 프랑스 보르도 지방의 레드와인을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에서 지칭하는 말.

 

Clavelin(끌라블랭): 프랑스어. 쥐라의 샤또 샬롱에서 사용하는 620㎖ 병.

 

Climat(끌리마): 프랑스어. 기후라는 뜻이지만, 부르고뉴에서는 특정 포도밭을 뜻한다.

 

Clos(끌로): 프랑스어, 부르고뉴 지방의 '담으로 둘러싸인 포도밭'에서 나온 말로 요즈음은 고급 포도원을 뜻함.

 

Corkage(코르키지): 레스토랑 등에서 손님이 가져온 와인을 마실 경우, 마개를 따주고 받는 요금

 

Cooperage(쿠퍼리지): 나무통 및 나무통에 관계되는 일.

 

Cooperative(꼬어페라티브): 프랑스어. 협동조합.

 

Cosecha(꼬세차): 스페인어. 수확 및 수확연도.

 

Cote(꼬뜨): 프랑스어. 원래는 '언덕진 포도밭'이었지만 요즈음은 포도원을 뜻함.

 

Coulant(꿀랑): 프랑스어. 알코올과 타닌 함량이 낮은 가벼운 와인.

 

Coup (꾸뻬): 프랑스어. 섞거나 희석시키는 (것).

 

Courtier(꾸르띠에): 프랑스어. 브로커로서 소규모 업자의 와인을 통 단위로 구입하여 네고시앙에게 중개하는 업자.

 

Cradle(크래들): 오래 숙성시킨 고급 와인을 담는 바구니.

 

Criadera(끄리아데라): 스페인어. 셰리의 솔레라 시스템에서 쌓아놓은 나무통의 단을 뜻하는 용어.

 

Cross(크로스): 같은 종을 교잡시켜 만든 잡종.

 

Cru(크뤼): 프랑스어, 특정 포도밭 혹은 거기서 생산되는 와인.

 

Crush(크러쉬): 캘리포니아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포도 수확을 뜻한다.

 

Crust: 침전물, 특히 빈티지 포트의 병속 침전물을 지칭함.

 

Cuvaison(뀌베종): 프랑스어. 레드와인 발효 시 색깔과 타닌 등을 우려내기 위해 껍질과 주스를 함께 발효시키는 조작.

 

Cuvee(꾸베): 프랑스어. 와인을 발효 혹은 블렌딩하는 탱크.

 

Cuvee close(꾸베 클로스): 프랑스어, Charmat process에서 발포성 와인을 2차 발효시키기 전에 블렌딩 해놓은 와인.

 

Debourbage(데부르바쥬): 프랑스어. 화이트 와인 제조 시, 압착하여 나온 주스를 정치시켜서 찌꺼기를 가라앉히는 작업.

 

Degree-Days(디그리 데이스): 적산온도. = Heat Summation

 

Demi, Demie(드미): 프랑스어. 절반의(Half).

 

Domaine(도멘느): 프랑스어. '소유지', '영지'의 뜻. 주로 부르고뉴 지방의 와인 제조업체를 가르키는 용어.

 

Domane(도메너): 독일어. = Domaine

 

Doux(두): 프랑스어. = Sweet

 

Dry(드라이): 달지 않고 건조한.

 

Dulce(둘세): 스페인어. = Sweet

 

Egrappage(에그라빠쥬): 프랑스어. 포도송이에서 가지를 제거하는 일

 

Elevage(엘레바쥬): 프랑스어. 발효에서 병입까지 와인제조의 전반을 뜻하는 용어. 원래는 목축, 사육의 뜻.

 

Eleveur(엘르뵈르): 프랑스어. 사육하는 사람이란 뜻이지만, 영와인을 구입하여 숙성, 병입하는 사람을 말한다.

 

Enologist(이놀러지스트): 와인을 제조를 연구하는 사람. 프랑스어로는 Oenologiste

 

Enology(이놀러지): 와인 양조학. 프랑스어로는 Oenologie

 

Enoteca(에노테카): 이탈리아어. 와인을 전시하고 구매할 수 있는 장소로서 유명산지에 화려하게 꾸며 놓은 곳이 많다.

 

Erzeugerabfullung(에르추게르압풀렁): 독일어. 생산자가 병입한.

 

Espumoso(에스푸모소): 스페인어. 스파클링 와인. 샴페인 방식으로 만든다.

 

Estate-bottled(에스테이트 보틀드): 와인이 만들어진 곳에서 병입한.

 

Ester(에스터): 에스테르. 와인의 향을 형성하는 주성분.

 

Estufa(에스투파):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원래는 '난로'를 뜻하는 것이지만, 와인과 관련해서는 마데이라를 가열하는 곳을 뜻함.

 

Fas(파스): 독일어. 나무통.

 

Fermentation(퍼멘테이션): 발효.

 

Fiasco(피아스코): 이탈리아어. 플라스크. 와인에서는 짚으로 둘러싼 키안티 병.

 

Filtration(필트레이션), Filtering(필터링): 여과

 

Fining(파이닝): 청징화. 와인이나 주스에 첨가제 등을 넣어서 맑게 함.

 

Fructose(프럭토스): 과당. 과실의 당분을 형성하고 있는 당분의 일종.

 

Gallo Nero(갈로 네로): 이탈리아어. 검은 수탉. 키안티 클라시코에 붙는 마크.

 

Glucose: 포도당, 포도의 당분을 형성하고 있는 당분의 일종, 녹말이 분해되면 포도당이 됨.

 

Glycerol(글리세롤), Glcerine(글리세린): 와인의 중요성분. 무색의 끈적끈적한 단맛 있는 액체. 지방이 분해될 때 지방산과 함께 생성됨.

 

Gout(구): 프랑스어. 맛.

 

Grafting(그래프팅): 접붙이기

 

Head space(헤드 스페이스): 나무통이나 병에 술을 채우고 남는 공간 = Ullage

 

Heat Summation(히트 서메이션): = Degree-days

 

Hock(호크): 독일의 라인와인을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에서 지칭하는 말. Hochheim에서 유래되었음.

 

Hogshead(혹스헤드): 나무통. 용량은 여러 가지가 있음.

 

Imbottigliato(임보틸랴토): 이탈리아어. 병입.

 

Keller(켈러): 독일어. 와인 저장실. =Cellar

 

Kosher Wine(코셔 와인): 유태교 랍비의 감독으로 엄격하게 만드는 와인으로 동물성 첨가제를 넣을 수 없다. 여러 가지가 있지만, 스위트 레드와인이 많다.

 

Lactic acid(랙틱 에시드): 젖산, 유산, 포도 내에 있는 유기산의 일종.

 

Lagar(라가):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포도를 발로 밟아서 으깰 때 쓰이는 돌로 만든 용기.

 

Lage(라거): 독일어.

 

Lees(리스): 와인 발효 시 생성되는 찌꺼기. 프랑스어로는 Lie(리).

 

Leg(레그): 글라스에서 와인을 흔들었을 때 글라스 내부에 눈물같이 흘러내리는 현상으로 알코올 농도가 높을수록 많이 형성된다. = Tear

 

Maderization(마데라이제이션): 화이트 와인이 보관상 문제로 갈변되는 현상. 마데이라의 갈색와인에서 유래된 용어.

 

Malic acid(맬릭 에시드): 사과산. 포도 내에 있는 유기산의 일종.

 

Marc(마르): 프랑스어. 포도 등을 압착하여 주스나 와인을 얻어내고 남은 찌꺼기.

 

May wine(메이 와인): 독일에서 유래된 허브를 첨가한 달콤하고 신선한 화이트와인으로 차게 해서 와인에 딸기를 띄워서 마신다.

 

Microfilter(마이크로 필터): 정밀여과기. 일반세균까지 여과되므로 무균여과기라고 함

 

Mildew(밀드유): 포도의 노균병.

 

Millesime(밀레짐므): 프랑스어. '수확연도'

 

Mis en bouteille au chateau(미 정 부떼이유 오 샤또): 프랑스어. 샤또에서 병입한.

 

Mistella(미스텔라): 포트, 셰리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알코올을 넣어서 발효를 중지시킨 포도즙.

 

Mistelle(미스뗄르): 프랑스어. 알코올을 넣어서 발효를 중지시킨 포도즙.

 

ml: 밀리리터. ℓ의 1/1,000, 1㎖=1cc=1㎤

 

Moelleux(몰뢰): 프랑스어. 온화하고 부드러운

 

Mosto(모스토): 이태리, 스페인, 포르투갈어. 발효시키기 전 청포도 주스나 으깬 적포도. = Must

 

Mout(무): 프랑스어. 발효시키기 전 청포도 주스나 으깬 적포도. = Must

 

Mulled wine(멀드 와인): 레드와인에 설탕, 레몬 껍질, 향신료 등을 넣어 가열시킨 것.

 

Must(머스트):  발효시키기 전 청포도 주스나 으깬 적포도. 알코올 발효가 일어나기 전의 상태를 총칭하여 must라고 한다.

 

Mute(뮈떼): 프랑스어. 발효시키지 않은 포도주스. 살균하여 낮은 온도에서 보관해두고 블렌딩 용도로 사용한다.

 

Natural wine(내츄럴 와인): 강화와인에 반대되는 개념, 발효시켜서 그대로 만든 와인

 

N gociant(네고시앙): 프랑스어. 와인상인이나 중간 제조업자. 와인을 구입하여 숙성, 블렌딩한 후 병입하여 판매함.

 

Negus(니거스): 영국 음료로서 포트 와인에 레몬, 설탕, 향신료, 더운물 등을 넣어 따뜻하게 마시는 음료.

 

Oenologiste(외놀로지스트): = Enologist

 

Oenology(외놀로지): = Enology

 

Oenoth que(외노떼끄): 프랑스어. 와인을 모아서 진열해 놓는 곳.

 

Oidium(오이디윰): 포도의 흰가루병.

 

Oxalic acid(옥살릭 에시드): 수산. 유기산의 일종

 

Oxidation(옥시데이션): 산화. 와인의 경우는 공기와 과다접촉하면 변질되지만, 나무통에서는 서서히 산화되면서 숙성된다.

 

Paraffin(파라핀): 콜타르에서 얻어낸 백색투명의 결정체. 양초의 원료.

 

Pasteurization(파스퇴라이제이션): 저온살균. 파스퇴르가 고안한 살균방법.

 

pH(페하): 용액 속에 녹아있는 수소이온 농도를 지수로 표현한 단위. 중성은 pH 7, pH 7보다 숫자가 크면 알칼리성, pH7보다 숫자가 작으면 산성이다.

 

Piece(삐에스): 프랑스어. 228ℓ 용량의 나무통. 부르고뉴 지방에서 사용되는 용어.

 

Pipe(파이프): 552.5ℓ의 큰 오크통으로 포르투갈에서 사용하는 용어.

 

Plastering(플라스터링): 산도가 낮은 머스트에 석고(황산칼슘) 등을 넣어 산도를 높이는 일.

 

Pomace(퍼미스): 포도 등을 압착하고 주스나 와인을 얻어내고 남은 찌꺼기.

 

Porto(포르토): 미국에서 포르투갈의 포트 와인을 캘리포니아 것과 구별하기 위해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모든 포르투갈 포트에 붙이는 이름.

 

Punt(펀트): 와인 병 바닥의 움푹 들어 간 부분. = Push up

 

Pupitre(쀼삐트르): 샴페인 제조 시 2차 발효가 끝난 뒤 병을 거꾸로 세워서 걸어놓을 수 있게 만든 선반.

 

Racking(랙킹): 따라내기. 과즙이나 와인을 정치시켜 찌꺼기를 가라앉힌 다음 맑은 상등액만 따라내는 작업.

 

Rancio(란시오): 산화 혹은 갈변시킨 와인. 색깔이 진하고 알코올 함량이 높은 스페인의 카탈로니아 지방의 와인도 뜻한다. '오래 묵은', '케케

묵은'의 뜻.

 

Recolte(레꼴뜨): 프랑스어. '수확' 혹은 수확물의 뜻.

 

Romer(뢰머): 독일의 전통적인 와인글라스. 손잡이가 길고 녹색이다.

 

Rootstock(루트스톡): 접붙이기에 쓰이는 대목.

 

Rouge(루즈): 프랑스어. 붉은

 

Sangria(상그리아): 스페인의 와인펀치로서 레드와인에 레몬, 오렌지, 설탕, 소다수 등을 넣어서 여름에 마시는 음료.

 

Sec(쎅): 프랑스어. 단맛이 없고 건조한

 

Secco(세코): 이탈리아어. 드라이.

 

Seco(세꼬): 스페인어. 드라이.

 

Sediment(세더먼트): 침전물

 

Still wine(스틸 와인): 발포성 와인에 반대되는 개념. 발포성이 없는 보통와인

 

Stuck wine(스턱 와인): 발효 도중에 온도 상승 등으로 발효가 멈춘 와인.

 

Sur lie(쉬르 리): 프랑스어. 발효탱크에서 바로 주병되는 와인에 쓰이는 용어. 즉, 발효가 끝나고 가라앉은 찌꺼기 위에서 숙성시킨 와인으로

이들은 특수한 향을 얻게된다. Muscadet과 Champagne에서 많이 사용한다.

 

Table wine(테이블 와인): 식탁용 와인 혹은 고급와인이 아닌 값싼 와인을 가르키는 말로도 사용됨.

 

Tartrate(타르트레이트): 주석. 주석산과 칼슘이나 칼륨이 결합하여 생긴 결정체.

 

Tartaric acid(타르타릭 에시드): 주석산. 포도에만 있는 유기산의 일종.

 

Tear(티어): = Leg

 

Tinto(띤또): 스페인어. 붉은.

 

Topping(토핑): 나무통에서 숙성 중인 와인은 그 양이 조금씩 감소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빈 공간을 동일한 와인으로 가득 채워주는 작업.

 

Traube(트라우버): 독일어. 포도.

 

Treading(트리딩): 스페인이나 포르투갈에서 포도를 밟아서 으깨는 작업.

 

Trie(트리): 프랑스어. 선별, 선택의 뜻으로 잘 익은 포도만 골라서 수확하는 일. 보트리티스 곰팡이가 낀 포도의 수확은 이렇게 한다.

 

Ullage: = Head space

 

Variety(버라이어티): 품종

 

Vat(벳): 와인이나 일반주류의 발효 및 저장용 단위탱크.

 

Vecchio(베키오): 이탈리아어. 오래 된.

 

Vendange(방당쥬): 프랑스어. '포도수확' 수확연도의 뜻은 아니다.

 

Vendimia(벤디미아): 스페인어. 수확, 수확연도.

 

Veraison(브레종): 프랑스어. 포도가 익어서 알맹이의 색깔이 변하는 것.

 

Vieux(비유): 프랑스어. 오래 된. 여성형은 Vieille(비에이유)

 

Vigne(빈뉴): 프랑스어. 포도나무.

 

Vigneron(비뉴롱): 프랑스어. 포도를 재배하는 사람.

 

Vignoble(비뇨블르): 프랑스어. 포도밭.

 

Vin(뱅): 프랑스어. 와인.

 

Vin Blanc(뱅 블랑): 프랑스어. 화이트와인.

 

Vin de garde(뱅 드 가르드): 프랑스어. 오래될수록 좋아지는 와인.

 

Vin de goutte(뱅 드 구뜨): 프랑스어. 자연적으로 유출된 must로 만든 와인.

 

Vin de press(뱅 드 프레스): 프랑스어. 압착하여 나온 must로 만든 와인.

 

Vin (비네): 와인이나 머스트에 알코올을 붓는 즉 강화의 뜻.

 

Vine(바인): 포도나무.

 

Vineyard(빈야드): 포도밭.

 

Vin gris(뱅 그리): 적포도를 살짝 압착시켜서 나온 주스로 만든 약한 핑크빛 와인.

 

Vinho(비뉴): 포르투갈어. 와인.

 

Viniculture(비니컬쳐, 비니낄띠르): 포도재배. = Viticulture

 

Vinification(비니피케이션, 비니피까시옹): '와인양조'를 뜻하는 말.

 

Vintage(빈티지): 포도수확, 수확연도.

 

Vino(비노): 이태리, 스페인어. 와인

 

Viticulture(비티컬쳐): 포도재배 = Viniculture

 

Viticulteur(비티낄뙤르): 프랑스어. 포도재배자

 

Wein(바인): 독일어. 와인

 

Weinberg(바인베어그): 독일어. 포도밭

 

Wild yeast(와일드 이스트): 야생효모, 포도껍질에 묻어있거나 흙, 공기 중에 분포되어 있음.

 

Wine maker(와인 메이커): 와인을 제조하는 사람.

 

Winery(와이너리): 와인을 제조하는 곳.

 

 

- 파이코인의 과거와 현재, 해야하는 이유

파이코인(Pi coin) 개발 연대기 : http://blog.daum.net/panggo7/290

 

- 파이코인의 목표

파이코인(Pi coin) 로드맵 / 배포 계획 : http://blog.daum.net/panggo7/286

 

- 파이코인의 현재 및 계획

파이코인(Pi coin) 업데이트 / 2분기 계획(2021/5/22) : http://blog.daum.net/panggo7/287

 

- 파이코인 Q&A

파이코인(Pi coin) 이슈 : http://blog.daum.net/panggo7/288

 

- 파이코인 채굴방법

파이코인(Pi coin) 채굴기 : http://blog.daum.net/panggo7/284

パイコイン(Pi coin) 掘り出し : http://blog.daum.net/panggo7/285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드를 이용한 단면특성 계산  (0) 2014.03.09
루트킷(악성코드) 제거툴  (0) 2014.03.06
해킹 툴 제거  (0) 2014.03.06
음식이름 외 잡다  (0) 2014.01.21
층간소음 분쟁조정  (0) 2013.06.26